보충과목이수
보충과목 이수대상자
학위과정 | 이수대상자 |
---|---|
석사/석·박사통합 | 학사학위 과정의 전공을 변경하여 입학한 자 |
박사 | 석사학위 과정의 전공을 변경하여 입학한 자 |
보충과목 이수
- ① 보충과목이수대상자는 학과에서 개설하는 하위과정의 전공과목을 보충과목으로 이수해야 한다. (보충과목 이수대상자인 박사과정생이 본인 학과의 석사 전공과목을 수강 신청할 시 보충과목 수강신청 여부 메세지에 따라 보충과목 또는 전공과목으로 신청이 되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함.)
- ② 보충과목의 성적은 C- 이상 취득해야 한다.
- ③ 보충과목의 성적은 평점평균에는 산입하지 않으나, 성적증명서에는 표기한다(절대평가 적용).
- ④ 보충과목 이수
과정 | 기준학점 |
---|---|
석사 | ① 해당 전공이 학부과정에 개설한 전공과목으로 이수해야 함. |
박사 | ① 해당 전공이 석사과정에 개설한 전공과목으로 이수해야 함. |
보충과목 이수 면제
- ① 하위과정에서 이수한 과목 중 소속학과 주임교수의 인정을 받은 과목은 면제받을 수 있다.
- ② 보충과목 학점인정은 과정별, 학과별로 다르므로 학과별 보충과목 이수학점까지 인정받을 수 있다.
- ③ 보충과목 인정 절차
하위과정 성적증명서 교과목해설표 보충과목인정서 |
개강 1주 이내에 당 전공 주임교수에게 제출 |
---|---|
![]() |
|
대학원 교학팀 제출 | 학과에서 취하하여 대학원 교학팀에 제출 |
![]() |
|
보충과목 인정확인 | 개강 후 포털시스템을 통해 개별확인 |
※ 아래 표는 미술사학과 대학원생이 수강할 수 있는 학부 보충과목 리스트입니다.(2024.02.08 업데이트)
|
학수번호 | 교과목명 | 학점 |
---|---|---|---|
학부 회화과전공 |
21001592 | 한국근·현대미술론 | 3 |
21101348 | 미술비평론 | 3 | |
21001606 | 현대회화론1 | 3 | |
21001607 | 현대회화론2 | 3 | |
21001608 | 아시아시각예술과 문화콘텐츠 | 3 | |
21101352 | 한국회화론 | 3 | |
학부 역사문화학과전공 |
21001921 | 서양중세사 | 3 |
21001922 | 서양현대사 | 3 | |
21001932 | 해방이후의한국역사 | 3 | |
21003602 | 조선시대의사회와문화 | 3 | |
21003205 | 한국근현대의사회와문화 | 3 | |
21003883 | 한국의사상과예술 | 3 | |
학부 문화관광학과전공 |
21002974 | 문화법규 | 3 |
21003355 | 문화예술경영 | 3 | |
21003333 | 문화예술과제도 | 3 | |
21003357 | 문화예술읽기 | 3 | |
21003356 | 이것이뮤지엄이다 | 3 | |
21003347 | 전시기획 | 3 | |
21100779 | 문화예술과경제 | 3 | |
학부 교양 |
21000167 | 실용한문(생활한문) | 3 |
21001487 | 사진의이해 | 2 | |
21001610 | 한국미술사 | 3 | |
21001612 | 서양미술사 | 3 | |
21003339 | 현대미술의이해 | 3 | |
21001956 | 서양의역사와문화 | 3 | |
21002238 | 건축기행 | 2 |